티스토리 뷰

 

국가정보원이 이명박 정부 당시 ‘댓글 부대’를 운영하며 인터넷 여론 조성을 시도한 정황이 사실로 밝혀짐에 따라, 주요 포털들의 댓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뜨겁다.

 

특히 지난 6월 네이버가 댓글 시스템에 도입한 ‘접기 요청’기능의 경우, 다수 이익집단이 악용할 소지가 농후해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취재한 바에 따르면 네이버의 댓글 ‘접기 요청’기능의 경우 100명 이하의 이용자가 접기 요청을 신청하면 네이버의 심사를 거쳐 해당 댓글이 접히도록 설계돼 있어, 특정 이익집단의 단체행동에 매우 취약한 구조인 것으로 드러났다.

 

 

네이버는 지난 6월 22일 ‘사용자와 함께 만드는 댓글 문화 정책’을 도입하며 댓글 운영 기능에 ‘접기 요청’을 새롭게 적용했다.

 

‘댓글접기요청’ 기능을 통해 일정 비율 이상의 이용자가 명예 훼손·사실 곡해 우려, 욕설·비방 난무, 불편 호소 등의 이유로 댓글에 접기 요청을 하면, 해당 댓글은 ‘현재댓글’이 아니라 ‘자동접힘’으로 분류돼 처리된다.

 

접힌 댓글은 기사 아래 자동으로 표시되는 일반 댓글과 달리 열람이 제한돼, 이용자가 별도로 내용 보기를 클릭해야 해당 댓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입 당시 네이버는 사측의 댓글 개입·관리과 관련한 의혹과 비판을 불식하고 이용자들이 스스로 댓글 운영에 참여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자정 작용을 강화하려 한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네이버가 블라인드, 댓글 삭제 등을 통해 언론을 조작한다는 비판으로부터 한발 물러서 사용자들에게 자율적으로 댓글 관리 및 운영을 맡기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접기 요청 기능 적용 이후 자신의 의견과 배척되는 댓글을 타인이 못 보게 하려는 심산으로 특정 댓글에 정치의도적 접기 요청을 하는 식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king****)네이버가 미꾸라지처럼 책임을 회피하는 지침", "(화이트**)저거 항의해서 없애야될듯요 저게뭐하는 짓인지" 등의 회의적인 반응을 내놨다.

 

그뿐만 아니라 1000∼1500명 이상의 공감을 얻은 댓글이더라도 상황에 따라 소수의 접기 요청으로 인해 해당 댓글이 접힐 수 있어, 다수의 목소리가 되려 소수의 집단행동에 의해 묵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실정이다.

 

네이버는 그간 적용했던 호감순, 최신순, 공감비율순 정렬과 무관하게 댓글에 새롭게 추가된 접기 요청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즉, 얼마만큼의 공감을 이끌어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 비율 이상의 접기 요청이 쇄도하면, 네이버의 자체 모니터링를 거쳐 해당 댓글이 접히게 되는 구조다.

 

이와 관련 네이버 측은 "접힌 댓글은 다른 이용자들의 추가 평가를 통해 다시 펼침으로 전환할 수 있다"며 "접기요청 수보다 펼침요청 수가 많아지게 되면 가능하다"고 전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