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북대문의 본래 이름 '숙정문' 에 대한 얘기입니다.


사대문 관련 아는 척은 사방 어느 곳이든

동대문이 됐든, 남대문이 됐든 문만 만나면 자연스럽게

끄집어 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면 장점이죠. ㅋㅋ


흔히 사대문 이름을 지을 때

인의예지신을 기반으로 지었단 것 정도는 아실 텐데,


왜 숙정문에 '지 智'가 들어가지 않았는 지도 알고 계신가요?



  사대문과 인의예지신 


  북대문까지 가기 전, 사대문에 이름이 붙은 것부터 차근차근 가도록 합시다.


  우선 조선이 세워질 당시, 한양을 설계한 건 정도전이란 유학자였습니다.

  당연히 유교를 중시했겠죠. 따라서 앞으로 조선이 유학을 받드는 나라가 되란 뜻에서

  사대문 이름을 지을 때 유학의 덕목'인의예지신'이란 글자를 한 자씩 따서 짓습니다.


  


  사진에 나와있는 대로입니다. 

  동대문 = 흥 '인 仁' 지문

  서대문 = 돈 '의 義' 문

  남대문 = 숭 '례 禮' 문

  북대문 = 숙 '정 靖' 문

  중  앙  = 보 '신 信' 각

  * 흥인지문이 4자로 이뤄진 이유는 고종 때 글자 한 자를 추가했기 때문입니다.

    동쪽에 있는 낙산이 상대적으로 낮아, 이를 보강하기 위해 '지 之' 자를 추가했다고 합니다.


 

  그럼 왜 숙지문(智)이 되지 못하고 숙정문(靖)이 되었나? 


  유교는 아시다시피 신분제 사회입니다.

  사농공상. 선비 사 士, 농사 농 農, 장인 공 工, 장사 상 商

  계급에 의해서 하는 일이 철저히 나뉘어져 있었죠.


  따라서 지혜 지智 를 문 이름에 붙여, 세상 사람들이 지혜로워지는 걸 사대부, 선비들이 바랬을 리 없어요.

  그저 사람들이 신분에 따라 살아가는 게 통치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반가운 거죠. 조선시대의 한계라고나 할까요?


  초기에는 숙청문, 맑을 청 이란 글자를 따다 쓰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숙정문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