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ㅋ.. 실제로 믿으시는 분은없겠죠?? 설마 ~ 지니계수 Geni index, Geni coefficient 지니계수는 이탈리아 통계학자 코라도 지니(Corrado Gini)가 개발했고요소득분배가 균등히 이뤄지고 있는지, 아니면 불평등의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지를나타내주는 수치입니다. 0에 가까우면 평등한 것이고, 1에 가까우면 불평등하단 겁니다. 즉, 높으면 높을수록 그 사회의 소득분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단 것! 지니계수 값은 어떻게 산출하느냐? 궁금하실 텐데요.흠... 복잡하니 잘 따라오셔요 ~ 지니계수의 함수그래프 가로축은 누적 가구비율을, 세로축은 누적 소득비율을 나타냅니다. * 가로축을 직역해 저소득층 인원으로부터 누적된 비율로 봐도 무방합니다. 100가구에서 총 100원의 소득이 1원..
내 노력이 적게 느껴져 도리어 그들에게 미안해질 때 한식 시험장이었다. 과제는 생선전. 동태 한 마리가 수험자들에게 배부됐다. 시험 시작을 알리는 종이 울리기 무섭게, 전(全)테이블에서 일사불란한 손놀림이 시작됐다. 나 역시 동태를 씻어 적당한 크기로 손질했다. 적당량의 밀가루, 풀어둔 달걀도 알맞은 크기의 접시에 담았다. 풀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올려둔 생선전이 프라이팬 위에서 익어갔다. 노릇노릇한 냄새가 코끝을 자극했다. 그리고 그때 옆 아주머니의 손이 테이블 간 경계를 넘어 내가 풀어둔 계란물로 향했다. 마주친 눈은 이마에 패인 주름만큼이나 많고 자잘한 잔주름을 지니고 있었다. 아주머니와 할머니, 그 사이 어디쯤 돼 보이는 분은 애처로운 눈으로 내 눈길을 받았다. 그 눈은 분명 부탁을 구하는 눈이..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ETF란 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의 줄임말입니다.한글말을 풀어서 쓰자면, "상장"된 주가"지수"와 연동된 상품에서 수익률을 얻도록 설계된 "펀드"라고 보면 되고요.영어를 풀어쓰자면, Exchange(거래소에서) Traded(거래되는) Fund(펀드) 란 의미입니다. 자, 아직 헷갈리시면 좀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흔히 ETF = 주식 + 펀드 라고 얘길 많이 합니다. 사진으로 본다면 위와 같습니다. 주식에서 "거래 가능한 Tradable" 장점과 펀드의 "분산투자 diversified funds" 이점을 섞은 것이죠.주식은 기업의 지분을 뜻하며, 주식투자는 일반적으로 한 기업 전체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기에, 분산투자..
정녕 전 남친의 선물을 버려야 할까 헤어지고 난 후 혹은 “헤어지자”란 말을 입 밖에 내기 전날 밤 이별의 징후를 감지했을 때. 우리는 로맨틱한 사랑의 꽃 한 송이가 피었다 지는 것과는 별개로 꽤나 현실적은 문제 하나를 마주해야 한다. 전 남친 혹은 전 여친의 추억이 담긴 물건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느냐, 하는 고민이다. 정녕 우리는 다음 사랑을 기약하기 위해 전 애인과 주고받았던 선물을 대여기간이 지나 연체된 책을 도서관에 반납하듯 돌려주어야 할까. 아니면 더는 입지 않는 옷을 헌옷수거함에 넣어버리듯 버려야만 하는 것일까. 영화 에는 이 고민을 끝까지 밀고나가 물건이나 선물 따위가 아닌 기억 자체를 지워버리는 두 주인공이 등장한다. 연애 후반기. 으레 누구나 다 그렇듯 남녀 주인공 둘은 훗날 기억도 나지..
대선을 앞두고 정치 얘기들 많이 하고 계시죠?그런데 언제부터야당 혹은 진보 진영을 좌 左여당 혹은 보수 진영을 우 右 이렇게 방향으로 나누기 시작했는지 아시나요? 프랑스 대혁명 French revolution 1789년 프랑스 시민혁명이 한창일 때였습니다. 당시 사회를 변화시키보다는 안전과 기초 제반 시설 확충에 힘써야 한다는 온건파 진영이 프랑스 의회 오른편에 있었고,기존의 낡은 사고방식 및 정치 체계를 무너뜨리고 사회 변혁 및 변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급진파 진영이 왼편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이때부터 온건파, 보수파를 우 右급진파, 진보파를 좌 左방향으로 나누어 구분하기 시작했습니다.
ㅋㅋ.. 다들 아시죠? 트로이목마 RAT (Remote Access Trojan) 흔히 트로이목마 바이러스라고 하는 RAT 입니다. 영어는 Remote Access Trojan 줄임말 위 사진 정의를 살펴보면 malware program 이라고 하는데 악의적인 malicious + software = malware 이라고 합니다. 즉, 악의적인 의도로 설치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보면 됩니다. 주로 불특정한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된 파일로 인해 컴퓨터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해커들이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가치있는 정보가 있는지, 공격할 만한 컴퓨터인지 파악할 때 사용한다고 하네요. 일종의 스니핑 sniffing (도청) 작업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주로 해킹은 피싱 -> 멀웨어 malware 침투 ->..
이제 로봇과의 공존을 준비해야 할 때 혹자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1차 산업혁명에서는 1000명의 노동자가 필요했고 2차에서는 100명이, 3차에서는 10명이 필요했다. 다가올 4차 산업혁명에서는 단 한 명의 노동자, 기계 전원을 끄고 킬 사람만이 필요하다.”물론 논리상 비약이 지나치다고 지적될 부분이 있겠지만, 단순히 웃고 넘어가기엔 언중유골(言中有骨)이 아닐 수 없다. 1, 2차 산업혁명은 영국에서 이뤄진 증기기관의 발명과 대량생산이었고, 3차 산업혁명은 인터넷을 골자로 한 정보의 세계화였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갈 키워드는 무엇일까.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게 ‘융합’이다. 정보통신기술(ICT)를 기반으로 한 로봇과 인공지능(AI)은 산업간 경계를 무너뜨리며 ‘융..
시대란 옷을 입혀 감상한 「월광한」 월광한(月光恨). 풀어쓰자면 ‘달빛에 깃든 한’ 정도가 될 것이다. 예로부터 동양에서는 뜨겁고 화려한 태양을 일컬어 양기(陽氣)의 상징이라 여겼고 서늘하고 은은한 달의 기운을 음기(陰氣)의 상징으로 보았다. 자연히 태양은 남성성이 깃든 자연물로, 달은 여성성을 내포한 자연물로 분류됐다. 이러한 추측을 기반으로 소설의 제목을 다시금 풀어쓰자면 ‘달빛을 닮은 여성에 깃든 한’ 정도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이 비약이 아닌 이유는 해당 소설 곳곳에서 제주도 아녀자들의 시름과 한을 나타내는 소재들과 서술이 여럿 등장하고 있기도 하거니와, 앞서 다룬 작품 중에서도 달을 제목으로 내건 일본 소설 한 편을 읽은 바 있기 때문이다. 사키야마 다미의 「달은, 아니다」란 작품이 그것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