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려견 기르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가고 있는
요즘입니다. ^^
그.런.데.
차가워서 !? |
첫 번째 설입니다.
강아지의 경우, 몸 전체가 털로 뒤덮혀 있는데요. 발만 제외하고 말이죠.
그래서 눈이 오면 그렇게 뛴다고 하네요.
추.워.서.
그런데,
같은 개과 포유류에 썰매견도 있는데 왜 유독 우리 반려견만 추워하는 걸까요?
100% 맞는 지에 관해서는
좀 의심이 가는 대목입니다...
색맹? 색약? 이라서 신나서! |
두 번째 설입니다.
만약 이 때문에 좋아서 뛰는 거라면 조금 안타깝기도 한데요
우선 사실부터 바로 잡고 갑시다.
과연 개는 색맹일까요? 색약일까요?
* 색맹 : 망막의 시세포에 이상이 있어, 색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함 (흑백)
색약 : 색맹보다 덜 심각하며, 적녹청 구분이 가능하나 불완전합니다. (적녹청)
좀 더 구체적으로 색맹과 색약을 구분하자면,
색맹의 경우, 적녹청 원뿔세포 중 두 가지만 가지고 있으며
색약의 경우, 적녹청 원뿔세포 세 가지를 모두 지니지만 한 원뿔세포의 기능이 온전히 못하다고 하네요.
아무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개.는.
색약입니다.
적녹청 세 색상 중 두 색상만 구분을 하고요. 물론 흑백도 됩니다.
즉, 눈이 하얗게 뒤덮이는 세상 모습이 신기하고 재밌어서 펄쩍 펄쩍 뛴다고 볼 수 있어요.
특히나 처음 눈을 접했을 때는요! 저희가 어릴 때 눈을 처음 봤을 때처럼.
허나 이도 시간이 지나면 그저 그런 광경입니다.
썰매견들이 눈 온다고 미쳐 날뛰지 않는 것처럼요.
눈이 오디 말디.. 걍 자네요.. ㅋㅋ..
포식자이기 때문에 !? |
끝으로 마지막 하나는 구글링을 하다 발견한 건데,
눈이 오는 것으로 인해 혜택을 받는 동물일 경우
눈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네요.
특히 곰, 바다표범
쥐, 들쥐 같은 것들도 눈 아래로 숨을 수 있어서 눈을 좋아한다고 해요.
강아지, 개 역시 눈을 좋아하는 이유가 여기에?
반면에 매, 독수리 같은 경우
눈이 오면 사냥에 불리해지고 굶어야 할 확률이 높아지기에
반기지 않는다고 하네요...
이상 !
know-it-all
'My article > Article ( Kor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숭이 "원숭이 엉덩이가 빨간 이유 알아요?" (0) | 2017.02.19 |
---|---|
아~ 대면조사가 아니고 '데면'조사 였구나 !? (0) | 2017.02.19 |
김정남 시신에 한다는 부관참시, 뭥미!? (0) | 2017.02.16 |
뭐? 엑소가 입는 패션이 엑소슈트라고!? (0) | 2017.02.16 |
#포켓몬GO 노다지를 왜 노다지라고 한다지? (0) | 2017.02.15 |